top of page
_DSC5543.jpg

국립부산과학관 관람객 전시 경험 디자인

Exhibition Development / Exhibit Experience Design

Overview

국립부산과학관은 2015년 12월 개관하여 연 평균 관람객 100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부울경 지역의 과학문화 거점기관입니다. 시민들이 직접 과학 원리를 체험하고 배울 수 있도록 다양한 주제의 상설 전시관을 비롯해 기획 전시, 야외 전시, 천체관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국립부산과학관은 자동차, 항공, 우주, 선박, 에너지, 의과학을 주제로 한 상설전시관 1, 2, 3관과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새싹누리관에 대하여 관람객 전시 경험을 개선하고자 하였습니다.

이에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기반으로 상설전시관 122개 전시물 및 새싹누리관 19개 전시물에 대한 관람객 조사를 실시하여 관람객 중심의 전시 경험 요소를 파악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였고, 최종적으로 전시 경험 전략을 수립해 취약 부분에 대한 아이디어 개선안을 제안하였습니다.

Client
국립부산과학관

Period
2020.07. - 2020.09.

Methodology
3 Internal Experts Interviews
300 Field Survey
100+ Tracking Observations
1 Co-creative Workshop

Goal
과학관 방문 관람객 조사
주요 인사이트에 따른 전시 경험 전략 수립
경험 개선 아이디어 도출

Discover

그림2.png
그림4.png
본격적인 관람객 조사에 앞서 내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관람객 유형 및 문제점에 대한 가설을 수립하고 새싹누리관 및 상설전시관의 가족 관람객을 대상으로 각각 100명, 200명의 현장 설문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를 통해 관람객 형태, 방문 동기 및 관람 만족도 등을 파악하였습니다. 또한 전시물별 관람 빈도수 및 소요 시간, 전시관 내 동선, 전시물 문제점, 불편사항 및 니즈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각각 21명, 80명의 관람객을 대상으로 추적관찰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Define

키파인딩.jpg
상설전시관.jpg
관람객 유형별 퍼소나와 여정지도를 통해 유형에 따른 부모와 자녀의 특징을 정의하고 관람 경험을 분석했습니다. 추적조사로 수집한 동선 데이터를 통해 구체적으로 관람객이 어떤 전시물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어떤 전시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은지 또한 심도 있게 분석하였습니다. 모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Key Finding과 Insight를 도출했습니다.

Develop

그림5.png
_DSC5590.jpg
최종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기에 앞서 개선 방향성을 수립하고 기회 요소를 발견하기 위해 과학관 내부 관계자들과 함께 아이디어 워크샵을 진행했습니다.  워크샵은 두 세션으로 나누어 관람객 유형별 아이디에이션과 Key Finding별 아이디에이션을 각각 실시하였고, Crazy Six, HMW(How Might We~?)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더욱 다양하고 참신한 의견을 공유하고자 했습니다.

Deliver

4-1.jpg
4-2.jpg
유형과 인사이트에 따라 발전시킨 기회요소를 바탕으로 총 50개 이상의 컨셉 아이디어를 도출하였습니다. 도출된 아이디어를 혁신성에 따라 분류 및 필터링하여 5가지의 새로운 서비스와 7가지의 기존 전시물 개선안으로 컨셉을 제안했습니다.

More Project

bottom of page